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 ‘신입생교육(初年次教育)’과 일본 교육정책의 상관관계

Policy Factors Affecting Freshmen Education in Japan

  • 124

‘대학전입시대(大学全入時代)’의 도래로 인한 고등교육의 보편화는 자기주도적 학습으로의 전환이 어려운 대학생들을 대거 양산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 결과, 일본의 고등교육 학습자들은 주체적 학생이라기보다는 정형화된 커리큘럼에 순응하는 이른바 ‘학생의 생도화’라는 특징을 갖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일본정부는 대학 신입생의 안정적 대학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인 신입생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대학교육의 ‘질 저하’를 개선하고자 ‘초년차교육’을 중심으로 한 대대적인 대학교육개혁을 추진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초년차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부의 주요정책들을 규명하고, 이들과 ‘초년차교육’의 상관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초년차교육’의 내용과 방법 그리고 목적에 주된 영향을 미친 정책으로는 첫째, 종전의 ‘진로지도’를 대신하여 새로 도입된 ‘커리어교육의 의무화’ 둘째, ‘액티브 러닝’으로 대변되는 교수․학습전략의 도입 셋째, 초․중등교육과 고등교육의 유기적 연결을 위한 ‘고교-대학 연계의 의무화’ 등을 지적할 수 있다. 신입생교육인 ‘초년차교육’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우선 대학별로 4년간의 ‘커리어교육’에 관한 종합계획을 수립해야 하고, 기존의 ‘아웃풋(output)’ 중심이 아닌 아웃컴(outcome)‘ 중심의 평가시스템을 도입해야 하며 ‘지식․경험의 구조화’를 위한 지역사회기반의 능동적 학습설계를 모색해야 한다.

The universalization of tertiary education has made it difficult for universities to meet active and independent learners. As a result, today s Japanese higher education learners who have conformed to formal curriculum are characterized by so-called ‘college students who have become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deterioration of such university education, Japan has pursued a major government-led university education reform. In this study, the policy factors influencing the ‘freshman education are the core subjects of university reform. Therefore these factors were identifi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freshman education was examined. The main policy factors influencing the content, method, and the purpose of ‘freshman education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education was introduced instead of ‘career guidance . Second, the introdu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was re-presented by ‘active learning . Third, it was necessary to link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to organically connect secondary and tertiary education. For successful ‘freshman education , a comprehensive plan for ‘care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4 years, the ‘outcome evaluation system should also be introduced instead of the existing ‘output evaluation, and finally the community-based active learning design for ‘structuring of knowledge and experience should be applied to the formal curriculum.

Ⅰ. 들어가는 말

Ⅱ. 대학생의 생도화(生徒化)

Ⅲ. ‘초년차교육’ 의 전개

Ⅳ. 정책변화에 따른 ‘초년차교육’의 전개양상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