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권근은 조선시대 성리학의 체계를 세우고, 이를 교육을 통하여 정착시키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던 유학자이자 교육자로, 이 연구는 그의 예악사상과 교육론을 살펴봄으로서 음악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 권근의 예악사상은 예악의 발생과 본질에서 성리학의 심성론과 실천·수양론에 입각해 있으며, 이를 통해 예악이 천인합일의 수단으로서 교육이 중요한 도구가 됨을 알았다. 권근의 교육사상 또한 그가 이해한 성리학적 개념들에 근거해 구체화되고 있는데, 특히, 학생 개개인의 특성가 흥미를 고려하고, 본질을 추구하고 기초를 튼튼히 해야한다는 교육 방법론은 현재의 음악교육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Kwan Geun was a confucian scholar and educator who played a central role in establishing the Neo-Confucianism and making it settle down. This study aims to acquire relevant points in the education of music by reviewing his Li Yue thoughts and views of education. In conclusion, Kwan Geun`s Thoughts of Li-Yue based its origination and nature on the Mind-nature Theory, Practice Theories, and Mental Training Theory, through which education became a vital vehicle as Li Yue was a tool of unifying heaven and human being. Kwan Geun solidified his educational thoughts based on Neo-Confucian thoughts that he understood. Particularly, his pedagogy is significant for the present music education that individual talent and interests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base for further learning should be strongly built with pursuing the essences.
목차
등록된 목차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0)
- 지식표상이론과 음악지식의 표상
- 초등학교 음악수업의 교수-학습 과정 개선을 위하여 미디키보드와 컴퓨터를 활용하는 교수 전략 연구 및 학습 프로그램 개발
- 독일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Musikunterricht(음악수업) 의 내용체계 분석 연구
- 피아노 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성향에 관한 고찰
- 음악교육의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교육연구의 새로운 접근
- 초등 음악학습부진아 지도 방안 연구
- 합창감상교재 개발에 관한 다양한 접근
- 학교 음악 교육: 50년의 회고와 전망
- 권근의 예악사상과 교육론
- 예술영역간의 통합적 국악 활동이 유아의 장단개념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