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2009개정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음악교육의 위기

Problem of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9 and the Crisis of Musical Education

  • 368

2009년은 `2007개정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적용되는 1차 년도이다. 그런데 갑자기 정부는 교육과정을 급히 또 다시 바꾸려 한다. 정부는 그 이유로서 교육의 고질적 병폐가 현행 교육과정에서 비롯되어 또 다시 개정을 안 할 수 없는 입장이었다고 밝혔다. 그리고 개정의 핵심 내용으로서 20%선에서 과목의 자율적 증감 허용, 특별 활동의 증가, 특정 교과의 집중이수제 일괄 적용, 초등 수업 시간의 확대 등을 내세우고 있다. 정당성이 결여된 교육과정을 급히 확정·고시할 때, 그 피해자는 고스란히 학생들, 학부모, 그리고 미래의 한국 사회가 될 것이다. 하나의 교육과정이 태동하기까지에는 다양한 여론 조사를 통한 의견 수렴, 많은 교과 전문가들의 참여, 절차적 타당성, 그리고 충분한 연구의 기간 등이 필요하다. 2009개정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에서 절차적 타당성과 믿을만한 신뢰성의 확보가 요구된다.

This year is the first year that applies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7` to school. But suddenly the government is going to rapidly revise the curriculum again. The government made her position that the current curriculum cannot but be revised because the chronic educational ills are caused by it. And the key contents of the revision are permission for self-regulating increase and decrease of subjects at twenty percent, increas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batch application of an intensive completion system, and expansion of elementary class hours. If the curriculum which lacks legitimacy is decided and announced rapidly, its victims will be the very students, parents of the students, and Korean society in future. Until a curriculum is created, public feedback through various surveys of public opinion, participation of many subject experts, procedural propriety, and sufficient research period are necessary.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9, guarantee of procedural propriety and credible reliability is required.

Ⅰ.들어가면서

Ⅱ.2009 개정 교육과정의 연구 진행 과정

Ⅲ.제도적 관점에서의 문제점 논의

1.교육과정 개정 시기의 적절성 문제

2.불분명하게 제시된 인간상 ‘글로벌 창의 인재’

3.입시 교육의 강화

4.피상적인 ‘핵심 역량’교육과정

5.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문제점

6.집중이수제의 문제점

Ⅳ.음악교육 관점에서의 문제점 논의

Ⅴ.학교의 독립 교과로서 음악 교과의 당위성

Ⅵ.나가면서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