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우리나라 1·2학년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의 효과적인 모델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발견해 보고자, 외국 6개 나라의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최근 음악과 교육과정 동향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 국가는 일본·미국·영국·프랑스·독일·핀란드의 6개국이다. 연구의 중심 대상은 음악과 관련된 교육과정으로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관련 영역이다. 연구의 결과, 외국의 경우 초등학교 1학년에서부터 ``음악``이라는 독립 교과 혹은 예술과 관련된 교과에서 음악이 다루어지고 있으며, 음악 활동에서 신체 표현 활동이 매우 중요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음악에 대한 애호심, 창의성 계발, 다양한 음악적 경험, 즐거운 생활함양, 미적 감수성 계발, 비평 능력 기르기, 역사적·문화적 맥락에서 음악 이해하기, 협동심 등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author will find any suggestions for the effective model of ``Happy Life``, a Korean integrated subject of the 1st and 2nd grade, by looking at the tendency of recent music education for foreign 6 elementary schools` 1st and 2nd students.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analysis of an education course and the author considered and analyzed formation and composition of music and education course (its characteristic, target, contents, lecturing & studying method, and estimation). The nations for this research are Japan, USA, England, France, Germany and Finlan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an independent subject such as ``Music`` or music from the art related subject has been taught for the elementary schools in the above 6 foreign nations and the author found that any body expressing activity has been performed very important in music activity. Also, understanding music and uplifting sociality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was found to be taught very important from the viewpoint of devotion for music, developing creativity, various experience for music, enhancing the expressions of music, developing esthetic sensibility, and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s from the music relating su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