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요인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ressors about Music Instruction
- 정다은(Da Eun Jung)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0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우수등재
- 2011.12
- 25 - 58 (34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 수업에 대한 광명시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초등 음악 수업에서 필요한 교사의 전문성과 자질, 설문지 작성을 위한 기초 연구(pilot study)를 토대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분석 결과, 5가지 요인(음악수업, 학생, 교육환경, 교육전문성, 음악전문성) 중 교육환경요인의 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왔지만, 음악 수업을 위해서는 음악전문성 요인에 대한 문제가 가장 먼저 해결해야한다고 다수가 응답하였다. 이는 교사들이 교육환경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는 있지만 음악 수업의 질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교사들의 음악전문성 신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esso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regarding music instruction in Gwangmyeong City. Through survey of 2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wangmyeong, Gyeonggi Province, the analysis result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teachers displayed the highest level of stres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of the five factors(music instruction, students, educational environments, educational professionalism, and musical professionalism) because of the lack of music rooms and diverse music instruments during music classes. They showed a high stress level in the questions about the teachers` edition in the factor of ``music instruction``, about the large number of students and the wide musical difference among the students in the factor of ``students``, about the absence of expertise on teaching methods for creative musical activities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factor of ``profession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