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 연구의 다양한 시각과 함의들
Various Viewpoints and Implications of Recent Creativity Studies
- 박은실(Eun Sil Park)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1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우수등재
- 2012.04
- 61 - 95 (35 pages)
창의성에 대한 개념 정의, 사고과정 및 발달에 대한 이본이 아직까지 명확하게 성립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모호함은 창의성을 연구하고 교육하는데 있어 한층 더 큰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은 모호함을 해결하기 위해 창의성 연구는 지금까지 다양한 시 각과 방법면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최근에는 특히 문화 맥락적, 다학문적 시 각에서 창의성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창의성에 대한 최근의 다양한 시각들을 창의성 정의의 재고, 맥락의 적극적 반영, 다학문적 접근의 요 구. 창의성 대상의 확대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것을 통해 음악창의성 및 음악교육에서 고려할 수 있는 점들을 생각해 보았다. 연구 결과, 본 연구는 음악 교육 안 구에 다름과 가치의 문제, 개인이 속한 맥락에 대한 고려, 매일의, 실제적 창의성에 대한 고려, 그리고 심리학적 연구와 사회문화적 연구의 접목 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definition of creative concepts, thinking process, and development about creativity have not been established yet, These ambiguousness add the difficulties in studying and educating of creativity, But at the same time, these ambiguousness are the most important research issues, Recently, the discussion about these issues have been studied from the cultural contextual, and multidisciplinary point of view. This study classified the various viewpoints of creativity by four categories: the reconsideration of creativity, the active reflection of contexts, the necessity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 the expansion of creative object,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ints to be considered in musical creativity and music education researches, This study showed the problems of difference and value, the consideration of context belong to individual, the emphasis of everyday and practical creativity, arid the engraftment psychological study and sociocultural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