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 음악 환경과 부모의 음악 관심도, 유아의 노래 흥미도 및 노래 이해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the Musical Environment at Home, Parents` Musical Interest, Children`s Interest in Singing and Children`s Comprehension of the Songs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1권 제2호
- : KCI우수등재
- 2012.08
- 41 - 66 (26 pages)
본 연구는 경기도 B시에 위치하고 만 3-5세 유아가 있는 유치원 세 곳의 총 167가정을 중심으로 가정의 음악 환경 실태를 살펴보고, 가정의 음악 환경에 따라 부모의 음악 관심도, 유아의 노래에 대한 흥미도와 이해도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한다. 가정의 음악 환경, 부모의 음악 관심도, 유아의 노래 흥미도와 이해도에 대한 설문지 170부를 각 가정에 보내고 응답되어진 총167부를 자료 분석하였다. SPSS 18.0 Window 통계프로그램으로 가정의 음악 환경 실태는 빈도분석을 하였고, 가정의 음악 환경과 부모의 음악 관심도, 유아의 노래 흥미도 및 노래 이해도의 관계는 χ2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가정의 음악환경, 부모의 음악 관심도, 유아의 노래 흥미도 및 노래 이해도에서 유아의 노래 이해도를 제외하고 서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으로 밝혀졌다. 가정의 음악환경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의 음악 관심도와 유아의 노래 흥미도가 높아졌다.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가 있는 가정의 음악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al environment of families by surveying 167 families with children aged from 3 to 5, of three kindergartens located in B city, Kyung-ki province, and to look into parents` musical interest, children`s interest in singing and comprehension of the songs, depending on the musical environment at home. 17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about musical environments at home, parent``s musical interest, children`s interest in singing and comprehension of the songs, were sent to each household, and 167 responses were analyzed. By utilizing SPSS 18.0 Window Statistics Program, the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al environment at home, and x2 verification was used to examine musical environment at home, parent``s musical interest, children`s interest in singing and comprehension of the song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meaningful relationship among the musical environment at home, parents` musical interest, children`s interest in singing, excluding children`s comprehension of the songs. The higher the level of musical environment at home, parents` musical interest and children`s interest in singing tended to be highe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preliminary resource for understanding of musical backgrounds of fami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