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에서 고려가요 지도 방안 연구
-사모곡(思母曲)을 중심으로-
- 김현정(Hyun Jung Kim)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1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우수등재
- 2012.12
- 71 - 91 (21 pages)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고려가요를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역사·문화 교육적 관점과 음악 교육적 관점에서 고려가요를 분석·정리하고,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사회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지도 대상과 내용을 선정하고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제재곡은 가사내용을 기준으로 초등학교 수준에 맞는 사모곡(思母曲)으로 하였으며, 지도 대상은 6학년, 수업은 3차시로 하였다. 1차시는 고려가요 알고 음악 감상하기, 2차시는 사모곡 불러보기와 장단 치기, 3차시는 단소나 소금 연주하기로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제재곡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안하였다. 그리고 주제에 맞는 악보와 이야기 자료를 고안하여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Koryeo Gayo`` based on both historical and cultural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al perspective for the present educational method of ``Koryeo Gayo`` in Elementary schools by then selecting teaching objects and contents to analyze the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sociology textbook and to seek the educational method. Teaching objects are chosen for the sixth grade and according to the plan the class is conducted in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students learn ``Koryeo Gayo`` by listening to music and paying attention to the lyrics and rhythmic sense. At the second stage they sing a song of longing for my mother and beat rhythm. In the third stage the students play the Sogeum(small bamboo flute). I regulated the length of subject matter songs according to the students` level and suggested it. I devised and suggested sheet music story materials based on the theme so that the students may learn various types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expand their musicality.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고찰
Ⅱ. 고려가요 고찰
1. 고려가요의 전승과정
2. 사모곡의 특징
Ⅲ. 고려가요 지도 방안
1. 교육과정 및 교과서 고찰
2. 지도 내용 및 방안
Ⅳ. 요약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