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우리나라 음악영재 교육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

Instructors` Perceptions on the Musically Talented Students` Educational Environments in South Korea

  • 85

교사는 음악영재를 가장 잘 알고 지지해주는 사람 중의 하나이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국·공립 영재교육원 교사들이 인식하는 음악영재의 교육 환경을 조사하였다. 이 조사를 위하여 질적 연구 중 면담의 자료수집 및 분석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네 가지주요사실이 발견되었다. 첫째, 교사들은 음악영재의 가족 환경, 특히 부모의 역할이 재능의 발굴 및 계발, 지원에 있어서 지대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부모의 열성이 지나치게 과열될 경우에 영재성의 발달에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지적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교사의 역할도 부모 다음으로 크다고 인식하였는데, 영재성 개발을 위해서는 교사의 실력과 수준, 인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셋째, 많은 교사들이 일부 음악영재아의 사회성 부족, 혹은 정서적 문제에 관한 우려를 표하였다. 넷째, 우리나라 음악영재 판별 및 교육 정책, 교육과정 등에 관해서 개선될 여지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Instructors are the people who guide their students as well as know them very well. This present study examined how music instructors in the public institutes for the musically gifted and talented in South Korea perceived their students` educational environments. The interview method of qualitative approach was taken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findings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interviewees thought family environments, especially parental ones were very important in the education of the musically gifted students. However, they pointed out the harmful effect of excessive zeal from some parents. Second, the interviewees showed disposition that the importance of instructors were next to that of parents for the musically gifted students. They thought the teachers need their own abilities, standards and personalities. Third, the instructors revealed some concerns about lack of social skills or emotional problems of some musically gifted students. Finally, the instructors perceived the needs of improvement for identification processes, educational policies, and curricula for the musically gifted.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연구자의 입장

4. 자료 분석

Ⅳ. 분석 결과

1. 부모의 역할 및 반작용

2. 교사의 역할

3. 영재 학생의 인성

4. 음악영재교육

Ⅴ.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