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전공 음대생을 위한 실기 지도실습수업의 운영
A Study on Running Teaching Practice Classes for Piano Major Students
- 김정미(Jung Mi Kim)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2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우수등재
- 2013.02
- 87 - 103 (17 pages)
본 연구는 음악대학 피아노 전공생들이 실기 지도를 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 그리고 경험을 대학의 수업과정 속에서 실제 학습하고 쌓아볼 수 있도록 실기 지도 실습수업 운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그것의 효율적 운영 방식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많은 피아노과 학생들이 졸업 후에 경험과 기술의 부족으로 현장에서 실기 지도를 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을 인식하여 본 연구는 피아노 전공생을 중심으로 실습수업을 시범적으로 운영하였으며, 그 결과 학생들이 문제점 지적 능력, 시범을 보일 수 있는 능력 등 7개의 항목에서 취약점을 드러냄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실기 지도 실습수업 운영의 중요성을 부각 시켰으며 효율적인 수업 운영 방식과 학생들의 지도능력 향상을 위해 동료 지도방식, 자유 토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피아노 교수 전략 프로그램 등의 제공을 통한 여건조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mphasize the needs for running teaching practice classes for piano major students and exploring effective ways of managing classes in order to help students to build up their knowledge, skills, and experiences of piano teaching. Many of piano major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piano teaching due to the lack of experiences and techniques. With the recognition of this kind of problem, the study ran teaching practice classes intended for piano major students on a trial basis. As a result, students showed deficiency in seven items including the abilities of pointing out problems and demonstration. Through this, the study emphasized the needs for running teaching practice classes.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find effective ways of managing teaching practice classes and to develop students` teaching abilities. They include the methods of peer teaching, free discussion, and offering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students.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연구자의 입장
4. 자료 분석
Ⅳ. 분석 결과
1. 부모의 역할 및 반작용
2. 교사의 역할
3. 영재 학생의 인성
4. 음악영재교육
Ⅴ.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