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문묘제례악을 초·중등학교 음악 교과 시간에 지도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묘제례악을 고찰하고, 교육과정과 음악 교과서, 사회 교과서를 분석하여 지도 대상과 내용을 선정하고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지도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3학년으로 선정하였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서는 문묘제례악을 접해보는 수준으로 지도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서는 악기 음색에 유의하여 감상하기, 문묘제례악의 의식 음악적 특징 알기, 가·무·악 통합 형태 이해하기로 주제를 선정하여 차시별로 내용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선율은 오선보로, 북장단은 정간보로 제시하였고, 일무는 사진과 설명이 함께 제시된 무보(舞譜)를 제시하고 각 단계에 따른 지도 자료를 고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educational method of ``MunmyoJeryeak``, which wonderful cultural heritage has been handed down over 500 years from the Chosun dynasty to now and have reminded the feature of ``Daeseongak`` during the Koryo dynasty. For that, at first I analyzed and organizd ``MunmyoJeryeak`` I then chose teaching contents and objects by analyzing the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sociology textbook and found an educational method. Teaching objects are chosen From 6th to 9th grade, and according to the plan, the class for elementary school is conducted in one stage. And according to the plan, the class for middle school is conducted in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students listen to music with attention to instrument`s tune. At the second stage, they play instruments and sing the song. In the third stage, the students follow the motion, ``Ilmu`` and present Ga(singing), Mu(dancing) and Ak(performing music). I suggested teaching examples according to the teaching level.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고찰
Ⅱ. 문묘제례악 고찰
1. 역사 및 문화 교육적 관점
2. 음악 교육적 관점
Ⅲ. 문묘제례악 지도 방안
1. 교육과정 및 교과서 고찰
2. 지도 내용 및 방안
Ⅳ. 요약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