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2009∼2013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음악과 문항의 출제 경향 분석

Trend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Questions: 2009∼2013 School Year

  • 146

본 연구는 교육과정 평가원이 제시한 음악과 교과 내용학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따라 2009학년도부터 2013학년도까지,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출제된 음악과 문항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5년간 출제된 음악과 임용시험 200 문항을 수집하여, 12개 과목 간, 평가영역 및 평가내용요소에 따라 출제된 비율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의 운영이나 평가 영역의 재조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과 12개 과목 간 출제 비중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과목별 평가영역 간에도 출제 비중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내용요소의 분석에 있어서도 72개 중에서 15개가 5년 동안 교사 임용시험에 출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음악과 임용시험의 출제 과목 간의 비중이나 평가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대한 재조정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content knowledge of musical education subject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conducted from the school year of 2009 to 2013 based on the evaluation scope of the musical education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evaluation contents which were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total of 200 questions were collected with respect to the questions that appeared on the test over the last 5 years which aimed to evaluate the level of applicants` knowledge related to the contents of musical education subject. The ratio of the contents covered in the test was assessed based on the scope of evaluation and the items for evaluation among the 12 subjects.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present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mu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musical education at the college of education or the restructuring of the evaluation scop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items that appeared on the test among the 12 subjects related to the content knowledge of musical education. Also, there was a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ratio of items covered in the test among the evaluation scope by subject.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evaluation content items suggested that 15 items out of 72 items did not appear in the musical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for 5 years. Based on such 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for readjusting the ratio of items covered in the test of content knowledge related to musical education or the evaluation scope and evaluation content items.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도구 및 방법

Ⅲ. 연구결과

1. 음악과 평가내용요소의 출제경향

2. 음악과 기본 이수과목 및 분야별 평가내용요소의 출제경향

Ⅳ.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