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이 만 2세반 영아의 음악 적성 및 음악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usic Experiences Based on Sound Exploration Activities on Music Aptitude and Propensity of Young Children in 2 Year-Old Classrooms

  • 307

본 연구에서는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이 만 2세반 영아의 음악 적성과 음악적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어린이집 만 2세반 영아 28명이며, 예비검사, 사전검사, 실험 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는 음악 적성 측정을 위해 Gordon(1989)의 ‘Audie’를 사용하였으며, 음악적 성향 측정을 위해서는 황인주, 김은정(2010)의 연구에서 사용한 ‘영아 음악적 성향’ 검사 도구를 재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각 집단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은 만 2세반 영아의 음악 적성 중 리듬 발달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고, 영아의 음악적 성향 중 음악적 흥미, 음악적 유능, 음악적 의지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influence of music experiences based on sound explor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in 2 year-old classrooms on music aptitude and propens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 toddlers who enrolled in 2 year-old classrooms of child care center. In this study, the preliminary tests,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post-test were carried out in order. This study used Gordon`s (1989) ‘Audie’ to test music aptitude and Hwang, In-Ju & Kim, En-joung`s (2010) ‘toddler musical propensity’ revised and supplemented to test music propensity.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t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Music experiences based on sound exploration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rhythm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2 year-old classrooms. Also, it had a positive effect on music interest, music competence, music volition of music propensit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및 방법

3. 연구절차

4.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 여부에 따른 음악 적성의 차이

2.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 여부에 따른 음악적 성향의 차이

Ⅴ. 결론 및 논의

1.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 여부에 따른 음악 적성의 차이

2.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 여부에 따른 음악적 성향의 차이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