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장취는 오늘날 산조의 전신이 되는 음악으로, 산조가 지닌 형식미와 시김새, 새소리를 흉내 낸 가락의 특징 등을 고루 갖추고 있는 음악이다. 특히 봉장취의 음악에 포함 되어있는 새울음 소리가 인상적인데, 이러한 요소는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음악적 상상력을 유도하는데 좋은 소재가 된다. 그런 이유로 봉장취는 2007 개정 초등학교 5학년 음악교과서에 감상제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과서에 소개된 봉장취 제재를 창의성 신장을 위한 음악극 만들기 수업으로 시도하기 위하여 음악극을 설계하고 만들 수있는 여러 가지 교수·학습 방법들을 살펴보고,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에서 음악극 봉장취를 만들어 발표할 때, 교과서 재구성하기, 가무악 요소 활용하기, 노래가사 바꾸어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신체 표현하기, 모둠활동을 통한 협동학습하기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어떻게 음악극을 설계하고 준비하여 발표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교수·학습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국악교육에서의 음악극 지도를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Bongjangchwi is the predecessor music of the present Sanjo. Bongjangchwi is music which has evenly the beauty of form and Sigimsae. feature of melody imitating bird sound. Especially, bird sound included in music of Bongjangchwi is impressive. This factor is good material in inducing musical imagin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ly Bongjangchwi was used by listening to music topic in 2007 music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 At this, the purpose of original study suggest class guidance plan and examine various teaching, learning method which can make and plan music drama for trying to music play making class and extension of creativity Bongjangchwi topic introduced in music textbook. The result of study, when elementary students make music drama Bongjangchwi and play, they suggested method which reconstruct textbook, use Gamuak factor, sing by changing song lyrics, play musical instrument, express body, use of cooperative learning by group activit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which provide specific guidance for music drama teaching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음악극 교육의 의의
2. 봉장취 음악 개관
3. 음악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고찰
Ⅲ. 음악극 봉장취 지도 방안
1. 지도계획
2. 지도내용
3. 음악극 수업의 설계
4. 음악극 준비과정 지도
5. 음악극 발표과정 지도
Ⅳ. 요약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