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중학생의 음악흥미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기술의 중다매개효과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kills in the Relation Between Musical Interest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 181

이 연구는 중학생의 음악흥미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기술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총 600명의 조사자 중 성실하게 응답한 406명(남학생200명, 여학생 20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음악흥미의 직접 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음악흥미가 정서지능과 사회적 기술을 통하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효과에 유의하였다. 셋째, 음악흥미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기술이 중다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음악흥미가 정서지능을 향상시키고 향상된 정서지능은 사회적 기술의 수준을 높여서 결국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교현장에서 음악흥미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적용하면 중학생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기술이 향상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학교적응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kills in the relati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musical interest and school adjustment. Of 600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data collected from 406 students (200 males, 206 females), whose responses were sincere, were analy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sical interest directly affected school adjustment. Second, musical interest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by enhanc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kills.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kills showed a multiple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musical interest and school adjustment. That is, musical interest improved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in turn enhanced social skills, and finally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increas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how the musical interests of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may improve social skills, which may in turn enhance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also imply that the implementation of school-based musical interest enhancement programs may improve middle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s well as social skills and that the programs eventually promote school adjustmen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음악흥미와 학교적응의 관계

2. 음악흥미와 정서지능의 관계

3. 음악흥미와 사회적 기술의 관계

4. 정서지능과 학교적응의 관계

5. 사회적 기술과 학교적응의 관계

6. 정서지능과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절차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