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음악교육 철학의 발달 상황을 알아보는데 그 초점이 있다. 저자는 북미 지역의 관련 문헌을 추적하여 그 배경과 용어 설정 및 주변 영역과의 위상을 정리하고, 그 주요 흐름을 살펴보았다. 음악교육 철학의 형성 초기에 미학적 접근이 주류를 이룬 결과로 전통적 예술 교육 주장으로 여겨지는 미적 교육이 한 동안 그 중심에 서 있었다. 이후 실제 삶에 나타나는 음악 및 그 활용의 다양함을 수용하려는 시도가 실제적 철학이라는 새로운 경향을 탄생시켰다. 미적 교육과 실제적 철학 사이의 논쟁은 한편으로 전자의 상대적비중 감소를 가져왔으며, 다른 한편으로 두 경향이 양립하는 이원적 상황을 이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utline the current trends of the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in North America. Drawing upon terminological regulation of philosophy of music, this paper tries to look over recent philosophical ideas which are found in the academic literature about music education. The author especially considers the emergence of this branch and the change of the overwhelming direction regarded as declining of aesthetic education in this field. This observation consequently shows a dualism of the philosophy in music education and still expects the development of a adequate philosophy of it.
Ⅰ. 서 론
Ⅱ. 음악교육 철학의 성장
1. 용어 사용의 배경
2. 관련 분야로서의 음악 철학
3. 음악교육 철학의 출현
4. 음악교육 철학의 정착
Ⅲ. 음악교육 철학의 진로
1. 유용성 문제와 철학적 프레임
2. 미적 교육과 음악교육 철학의 관계
3. 새로운 방향의 탐색
Ⅳ.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