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중등예비음악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반성적 실천 기반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um Program Based on Reflective Practitioner for Promoting Expertise of Secondary Pre-service Music Teacher

  • 145

본 연구는 교사교육에 있어 실천적 지식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시대의 흐름에 부합하여 반성적 실천을 기반으로 중등음악예비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을 줄 수있는 음악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개발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기초 연구를 통하여 국내외 중등교원양성기관의 음악교육실습 관련 연구동향을 파악하였으며, 둘째, 반성적 사고 관련 연구동향을 조사하였다. 셋째, 국내외 교육실습과목의 구성과 운영 실태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프로그램 시안을 개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타당화를 위하여 전문가의 자문, FGI, 워크숍등을 수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acticum program based on reflective practitioner for promoting expertise of secondary pre-service music teacher.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ree processes were don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fundamental research, the trend of research dealing with practicum program were reviewed. Second, the trend of research focusing on the reflective practitioner were also investigated. Finally, the component and operation condition of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practicum program subjects were reviewed. Through the analysis of practicum programs in Korea and the U. S., reflective practitioner and the survey of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the researcher could have some important ideas and make more systematic and advanced practicum program of our own. Including an advisory committee, the various way were used for validating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acticum program based on the promoting expertise of econdary pre-service music teacher, the emphasis of the pre- and post-education, reflecting of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applicability in the current system.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내용 및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국내·외의 음악교육실습 관련 연구의 동향

2. 반성적 실천

3. 국내·외 음악교육실습 프로그램의 비교

Ⅲ. 반성적 실천 기반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개발

1. 프로그램의 개발과정

2.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

Ⅳ.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