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음악교과 교양수업과 신입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K지역의 대학교에서 예술문화교과 교양수업을 수강하는 1학년 재학생 남녀 573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학생배경특성, 교과유형, 교수행동, 수업만족도, 스트레스, 학교적응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신입생의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은 학생배경특성, 교과유형, 교수행동, 수업만족도, 스트레스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친 중요한 요인은 수업만족도이다. 그리고 음악교과 교양수업은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수업만족 향상을 위해 효율성 있는 교수행동으로 스트레스의 변화를 촉진하고, 체험과 소통의 실기 위주 교양교육을 활성화하여 새롭고 차별화된 음악교과 교양교육의 개선과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음악교양교육 실기수업의 효과적인 향상에 있어 단계별 학습 및 연속교육의 성인 평생학습 차원에서 학교 교육문화의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subject as a liberal arts class and adjustment of school life for freshmen.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573 male and female freshmen, who are attending culture and arts subject as a liberal arts class of a university in K region. A survey about features of student background, subject type, teaching behavior, class satisfaction, stress, adjustment of school life were used as the measuring instrumen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s, applied correlatio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of freshmen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factors of student background, subject type, teaching behavior, class satisfaction and stress, while class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the critical factor that had a common effect. In addition, the music subject as a liberal arts cla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ver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Therefore, for the increase of students` class satisfaction, an efficient teaching behavior must promote a change in the stress factor, while invigorating a practice-oriented general elective education based on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to encourage improvement for a new and differentiated music subject as a liberal arts class.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effective improvement of practical education in music subject as a liberal arts class, a school education culture must be established in the level of Adult lifelong learning with a phased practical studies and continuous educa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음악교과 교양수업
2. 학교적응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측정도구
2.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분석
2. 대학 신입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회귀분석
Ⅴ.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