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초등학교 음악 제재곡 개발을 위한 노동요 연구

Study on Korean musical pieces and Contents via Korean traditional work song

  • 78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지도될 수 있는 제재곡을 개발하고자, 전라남도 노동요를 채보하고, 토리와 장단을 연구하여 교육과정에 맞는 음악 제재곡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전라남도 노동요는 대부분 육자배기토리이거나 불분명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들 노래 중 현재 시행되고 있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토대로 음악 교과 가창 제재곡으로 적합한 곡은 ‘나주 논매고 오는 소리(에롱대롱)’, ‘진도 보리타작 소리(옹헤야)’, ‘완도 보리타작 소리(와아덜이여)’, ‘여천 멸치잡이 소리(거문도 뱃노래)’, ‘장흥 아이 재우는 소리(자장가)’ 등이며, 나머지 곡들은 노동요를 지도하는 단원에서 감상곡으로 제시할 수 있거나 제재곡으로 부적합한 곡들이다.

For this study, I suggest Korean musical pieces and Contents of guidance via ChonLanam-do work song. ChonLanam-do folk song has genre diversity of work songs, ritual songs, and entertainment songs. The beat is similar to joongjoongmory, gudgeori and jajinmori. The glace note is varied and the melody varies from simple to complicated. At first, I analyzed and organized ‘ChonLanam-do folk song’. I then chose teaching contents by analyzing the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I suggest singing repertoires song of walking after weeding a rice paddy in Naju-si, barley threshing song in Jindo-gun, barley threshing song in Wando-gun, anchovy fishing song in Yeocheon, lullaby in Jangheung-gun. With these songs, students sing a song, play instruments, listen to music, and study Korean tLaditional music form and value.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고찰

Ⅱ. 전라남도 노동요 연구

1. 농업노동요

2. 어업노동요

3. 기타노동요

Ⅲ.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