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과 교과교육학 과목에서 교수피드백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bout the Instructor`s Feedback in Pedagogy of Music Subject
- 윤관기(Gwan Ki Yun)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3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우수등재
- 2014.02
- 139 - 163 (25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과 교과교육학 과목에서 제공되는 교수피드백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인식 및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인원은 총 407명으로 3개 교육 대학교 7개 학과에 재학 중인 2∼3학년으로 음악교육I, 음악교육론, 음악교재연구 및 지도법 과목에서 수업시연 후 제공받은 교수피드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82%의 초등예비교사들(N = 334)이 음악과 교과교육학 과목에서 교수피드백이 필요하다고 대답했으며, 가장 선호하는 교수피드백의 형태는 수업시연 중에 발생하는 오류에 대해 학습자 스스로 오답을 수정할 기회를 얻고 교수피드백은 유보하는 형태인 유보적 피드백(69.6%)으로 나타났다. 교수피드백을 제공받는 시점에 대해서는 오류 발생시 교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보다 수업시연이 모두 종료된 후에 교수피드백 받기를 희망하는 초등예비교사들(72%)이 더 많았다. 또한, 수업시연에서 제공되는 교수피드백은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음악과목의 이해도와 교과목에 대한 성취도 향상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bout the instructor`s feedback in pedagogy of music subject. A total of 407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perception was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82%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swered that the instructor`s feedback is necessary for developing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and understanding the pedagogy of music subject. Second, nearly 70%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referred the reserved feedback. It means that they would like to have a chance to modify their mistakes before instructor gives right/wrong answers immediately. Third, 72%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ould prefer receiving the instructor`s feedback after the teaching practice rather than receiving the instructor`s feedback during the teaching practice. Lastly, the instructor`s feedback contributed to fostering academic achievement toward music subject and to understanding the practice teaching in pedagogy of music subject.
Ⅰ. 서 론
Ⅱ . 이론적 배경
1. 피드백의 개념정의
2. 피드백의 유형
3. 피드백의 제공시기
4. 피드백의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음악과 교과교육학 피드백
4. 연구절차 및 자료처리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