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독일 초등학교 교육특성에 따른 교육역량 및 음악교육역량 관련연구

The study of educational competency according to German elementary school system and its correlation to music educational competency

  • 160

본 연구는 독일 초등학교교육에서의 교육역량과 그에 따른 음악교육역량에의 적용에 관한 것이다.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교육의 핵심과제로 다루고 있는 역량 문제를 독일 교육 역량을 통해서 탐색함으로서 국제적 시각에서 교육역량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이해도를 높이는데 있다. 연구내용은 독일 초등학교 교육역량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형식적 자료로서 초등교육의 성격, 교육역량부분은 독일에서 적용하는 보편적 교육역량개념과 베를린,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학교교육 역량, 모델 등을 제시하였다. 음악교육역량부분은 Klippert(1996)의 확장된 역량 개념을 적용한 음악교육역량, 교사의 역량 구조에 따른 음악 교육적 적용범위를 제시하였다. 음악교육에의 적용 본 연구에 적용한 자료는 G. Lehmann & W. Nieke(2013)의 선행연구와 주정부간행물 등을 참조 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educational competency in German elementary schools and its correlation to music educational competency. As the basic formal data in figuring out the educational competency of German elementary school,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propose the related part of educational competency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educational policy, the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of a system, curriculum and educational competency in German elementary education. The formal data which is utilized in order to understand educational competency is presented with focus on the educational policy and educational curriculum settings of Bayern state and Berlin state in consideration of the German national educational features in which all the educational policies are put into practice diversely with priority given to state government. The part concerning music educational competency is presented with focus on the investigation of music educational competency reflected in the music education curriculum in Berlin/ Brandenburg state and Nordrhein-Westfalen state. The literature data on all the competency concepts, models, and so forth which are appli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ior study of G., Lehmann and W., Nieke.

Ⅰ. 서 론

Ⅱ. 본 론

1. 독일 초등학교 교육의 제도적 특징

2. 교육역량과 음악교육역량

Ⅳ.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