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역량을 중심으로 음악과 교육과정을 개정하여 실천하고 있는 독일 함부르크주의 사례를 탐색해 봄으로써, 최근 많이 회자되고 있는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이 음악과에서 어떻게 가능할 수 있는지를 탐색해 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함부르크 주 초·중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역량 중심의 음악과 교육과정의 구조와 설계 방식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 논의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중심 설계의 장·단점에 대한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 음악교육 맥락에 적절한 음악과 교육과정 구조와 문서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역량 중심의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은 음악 교과의 본질적 역량을 드러내면서도 교육과정 전체가 추구하는 핵심 역량과 조화를 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se of music curriculum of Hamburg in Germany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 To achieve it, the study elaborates the curriculum structure and the ways of design used in competency-based curriculum, by analyzing music curriculum documents of Hamburg develope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the appropriate structure for music curriculum of Korea by reviewing the pros and cons of competency-based development. Second, competency-based music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to reflect essential music-specific competencies as well as cross-curricular competencies suggested by general curriculum.
Ⅰ. 서 론
Ⅱ. 독일 함부르크 주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 개혁 동향과 교육과정 구조
1.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도입 배경
2. 역량 중심 음악과 교육과정의 구조
Ⅲ. 독일 함부르크 주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역량 중심 설계 방식
1.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2.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 역량 중심 성취 기준
Ⅳ. 논의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