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음악대학생의 진로탐색경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개발역량 관계 파악을 목적으로 서울과 경기 지방의 음악 대학 1~4학년 303명 음악전공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일반적 특성, 진로탐색경험, 진로결정수준, 진로개발역량의 4영역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대학 학생의 전공과 학년 및 진로탐색경험 유무는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개발역량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악전공에서 진로확신수준이 높았다. 둘째, 진로탐색경험은 진로와 전공 선택에 대한 진로확신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며, 진로개발역량의 평생학습능력, 직업/취업정보 수집, 활용능력, 네트워킹 능력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진로개발역량과 진로결정수준은 전체적으로 부적상관이 있으나, 각 하위요소간의 상관관계는 정적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relations between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from freshmen though seniors majoring in music. The 303 subjects were selected from music students in 13 universiti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 sections, that is general characteristics as a background variable,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First,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 showed a great impact on lifelong learning ability, ability of gathering and utilizing vocational and employment information, and networking skills. Second,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students` grades, and majo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howed a negative (-) correlation while their sub-domains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each other.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진로결정수준
2. 진로개발역량의 개념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진로탐색경험에 따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개발역량
2. 진로탐색경험 유무에 따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개발역량
3.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개발역량 상관관계
V. 논의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