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음악과 경영학 전공 대학생들의 교과과정 및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 비교분석

Curriculum Satisfaction between Music & Business Majors in Korean Universitie

  • 99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과 경기지역의 음악과 경영대학에 재학 중인 269명(N=269)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Curriculum Satisfaction Inventory For Music & Management Majors (CSIMM)을 통해 두 전공 간 커리큘럼 및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측정도구인 CSIMM은 교수, 교과과정, 학교, 졸업 후 진로 등 네 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총 21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높은 내적일관성신뢰도가 확인되었다(α=.88). 본 연구 결과, 음악, 경영 전공 상관없이 교과과정에서 교수와 관련한 요인들이 가장 만족하는 요인들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전공이 교수의 전문성 면에서 경영전공에 비해 더 크게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음악전공은 경영전공과 비교하여 졸업 후 진로와 관련된 요소에 가장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습실 등 교육환경면에서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음악대학들이 연습실 등 현재의 교육환경을 개선하고, 졸업 후 보다 많은 학생들이 취업할 수 있는 실질적 교과과정으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erceived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urriculum satisfaction level between music and business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N=269). The Curriculum Satisfaction Inventory for Music & Management Majors (CSIMM) was developed for investigating the curriculum satisfaction level between music and business maj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rofessor factors, such as the professor’s teaching and the professor’s expertise were perceiv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mpacting the level of curriculum satisfaction regardless of music or business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while the future career factors, such as preparation for the future career and condition of practice room were perceived as the least influential factors for the music majors, relatively compared to business majors.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pointed out that schools of music in Korean universities need to develop current curriculums more practically for the future career of music graduates and improve the condition of practice rooms. Recommendation and conclusion were provided for music majors in Korean universitie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Participants)

2. 연구의 제한점(Limitation)

3. 연구절차(Procedure)

4. 검사도구(Questionnaire)

5. 결과분석(Data Analysis)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