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난타 음악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anta music activity on young children``s stress and self-efficacy

  • 248

본 연구의 목적은 난타 음악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는 것에 있다. 같은 지역에 소재하고 있어 사회적 계층과 일과 운영이 비슷한 경기도 O시 병설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5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난타 음악활동을 16회 실험집단 유아에게 실행한 후 유아의 스트레스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난타 음악활동은 유아의 스트레스 하위변인인 비난.공격적 상황에 접함, 불안.좌절감 경험, 자존감 상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난타 음악활동은 유아의 자아효능감 하위변인인 인지적 영역, 신체적 영역, 사회.정서적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난타 음악활동은 유아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는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Nanta music activity on young children``s stress and self-efficacy. This study targeted 50 young children in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where have similar social class and daily work management systems. Then, young children``s stress and self-efficacy were measured in the group to do the Nanta music activity and in the group not to do this activity. As a result, first, the Nanta music ac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n encounter with criticized.aggressive situations, an experience of anxiety and frustration and a loss of self-esteem which are subordinate variables of young children``s stress. Second, the Nanta music ac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gnitive domain, physical domain and social.emotional domain that are subordinate variables of young children``s self-efficacy. In conclusion, the Nanta music activity was found to reduce young children``s stress and improve self-efficacy.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난타 음악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2. 난타 음악활동이 유아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