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교사전문성 척도 개발 및 인식 수준 분석
Construction of music teacher Professionalism Scale and Analysis of the Recognition Level
- 홍인혜(In Hye Hong)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3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우수등재
- 2014.11
- 239 - 267 (29 pages)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전문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그 인식 수준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종합.정리하여 음악교사전문성의 구성요소를 탐색하여 예비 척도를 제작하고, 397명의 중등학교 음악교사들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악교사전문성 척도는 4개 영역에서 6개 하위요소의 총 31문항에 대한 구인 타당도 및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음악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 수준은 성별, 경력, 학력, 학교 규모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교 급, 음악 교과 관련 연구회나 학회 활동 경험, 대학 강사나 연수 강사 경험, 음악 교직 관련 수상 경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 중등학교 음악교사가 자신의 전문성을 개발하고 신장하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와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음악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usic teacher professionalism scale and analysis of the recognition level in secondary general music teachers. In the process, music teacher professionalism preliminary scal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it was administered to 397 secondary music teachers. After data analyzing, a total of 31 items with 6 sub-constructs in the 4 areas was identified by the mean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es, thus clearly establishing the construct validity. The overall internal consistency was quite high(Cronbach``s alpha=.955). The overall recognition level of music teacher professionalism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gender, teaching career, education level, and school size; however the overall recognition level of music teacher professionalism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school level, music education-related experiences such as being a member of teacher``s communities or academic societies, being a university lecturer or a teacher trainer, and award winning career.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음악교사전문성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2. 배경변인에 따른 음악교사전문성 인식 수준 분석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