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음악교육에 필요한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 수준을 스스로 평가해볼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음악 교수내용지식 측정척도는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 학습자에 대한 지식의 4개요인, 총 45 문항이 개발되었다. 유아음악 교수내용지식 측정척도의 적합성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도 지수들은 ?撮? =275.250(d.=59), TLI= .943, CFI= .957, NFI= .946, RMSEA= .087( .077~ .097)로 적합도 수준을 충족하였으며, 박은영(2009)의 음악 교수능력 도구와 공인타당도 결과, 척 도 구성 요인들 간 상관계수는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높은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 .946)를 보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음악 교수내용지식 측정척도는 유아음악 교수내용지식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인 척도로 적절한 척도임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which the teachers may assess their lev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necessary f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ur elements-knowledge of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and knowledge of learner-and a total of 45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ised. Second, suitability indices for the measurement scale fo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arly childhood music from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were found to be x2 =275.250(d.=59), TLI=.943, CFI=.957, NFI=.946, RMSEA=.087( .077~ .097), which demonstrates that this measurement scale is a suitable model. To verify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scaled developed in this study,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n evaluation tool for music teaching skill introduced in Park(2009). The result yielded correlation coefficient of .01, which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Third, The result showed high reliability coefficient. Consequently, the measurement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a helpful too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improving their music class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절차
2. 본연구
Ⅲ. 연구결과
1. 유아음악 교수내용지식 측정척도의 문항구성
2. 유아음악 교수내용지식 측정척도의 타당도
3. 유아음악 교수내용지식 측정척도의 신뢰도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