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개정 중학교 교과서의 20세기 음악 감상 영역 비교 분석
Analytical Study On The Contents Of 20th-century Music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 송재녕(Jae Nyeong Song) 현경실(Kyungsil Hyun)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4권 제2호
- 등재여부 : KCI우수등재
- 2015.05
- 75 - 98 (24 pages)
본 연구는 현행 중학교 음악 통합교과서에 수록된 20세기 음악의 실태를 분석하고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20세기 음악과 그 학습 내용을 비교하여, 교육 현장에서 교재의 선택, 수업 설계, 학습 내용 선정에 도움을 주고, 더 나아가 차후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편에 필요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중학교 음악교과서 17종에 실린 감상영역 중 20세기 음악을 조사·분석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였다.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진 <목신의 오후 전주곡>, <봄의 제전>, <달에 홀린 피에로> 등의 내용을 심층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20세기 음악 감상 학습은 제시된 학습 목표와 학습 내용의 일치, 서양음악사와 감상곡의 학습내용 연계성, 그리고 다른 음악 학습 영역 및 타 교과와의 연계 활동 제시에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s of 20th-century music in the 17 kind of middle school textbooks which were revised in 2009 curriculum. The musical pieces of 20th-century music in the textbook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composer and genre and compared education contents of some musical pieces such as ‘Prelude a l``apres-midi d``un faune’, ‘Le sacre du printemps’, ‘Pierrot lunaire’ in the textbook for its learning goal.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e elements to be learned and considered what needs to be in the text book and how to compose the contents for each musical piece by a number of references.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20th-century music should be learned on the basis of history, society, and cultural background as well as its musical figure. It is also important to connect musical activity with other art genre such as fine art, dance, performance, etc. Second, since the learning goal of each musical piece in the textbook is different for the author``s point of view, the frame of reference should be cleared. Third, the education contents and activities of each musical piece in the text book should be composed logically and effectively depending on its learning goal. Fourth, the activities in the textbook should be consisted on the basis of student``s level and demands rather than teacher``s preference so that students can study 20th-century music during the class enthusiastically under their own initiative.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문제
Ⅱ. 연구의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와 분석 기준
Ⅲ. 중학교 교과서에서의 20세기 음악
1. 20세기 음악의 비율
2. 20세기 음악의 유형별 분석
Ⅳ. 주요제제곡의 교과서별 내용비교 분석
1. 목신의 오후 전주곡
2. 봄의 제전
3. 달에 홀린 피에로
V.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