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학습내용과 선택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일반과목 ‘음악과 생활’, ‘음악과 진로’ 교과서 내용간의 종적 연계성을 밝혀 앞으로 중등학교 음악과 교과서 내용 구성의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저자와 출간한 출판사가 동일한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총 6권을 분석하였다.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음악과 생활출판사와 천재교육출판사의 교과서의 모든 악곡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는 다양한 박자와 조성은 물론 다양한 장르와 다양한 나라의 곡들이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연계하여 반복하여 소개하고 있어 계속성의 관점과 새로운 내용을 소개하는 계열성의 관점에서의 관점에서 연계성이 잘되어 있는 편이었다. 그러나 ‘음악과 진로’는 중학교 ‘음악’이나 ‘음악과 생활’ 교과서 보다 다양한 곡을 다루고 있지 않으며 중학교 ‘음악’과의 연계성도 ‘음악과 생활’에 비해 많이 부족하였다. 그러므로 ‘음악과 진로’ 교과서는 ‘음악’ 교과서와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음악 활동이 중심의 학습내용을 토대로 하는 음악관련 진로 탐색 교과서로 개선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esirable improvement plan of secondary school music textbooks by evaluating th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junior high and high school ‘music’ textbooks, ‘Music,’ ‘Music and Life’ and ‘Music and Career.’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We analyze all music pieces of the textbooks ‘Music,’ ‘Music and Life’ and ‘Music and Career.’ They consider music with various meters and tonalities and of various genres and countries. They treat these subjects sequentially and continuously in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But textbook ‘Music and Career’ does not contain various pieces of music compared to textbooks ‘Music’ and ‘Music and Life’. ‘Music and Career’ connects to ‘Music’ less well than ‘Music and Life’. Therefore, high school textbook ‘Music and Career’ should improve the connection to junior high school textbook ‘Music’ and provide information for music related career by emphasizing practical music activitie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Ⅲ. 결 과
1. 박자와 조성에 대한 연계성
2. 가창영역에 대한 연계성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