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3~4학년 초등 음악교과서 안에 수록된 다문화 악곡의 음악 구성 요소와 다문화 요소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총 95명이 참여하였고, 14주에 걸쳐 다문화 음악 학습 프로그램을 한 학기동안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시작 전과 후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 중에는 다문화 음악을 학습한 경험이 있는 유경험자와 경험이 없는 무경험자가 있었는데 연구 결과, 학습 경험 유무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양쪽 그룹 모두 음악적 요소 보다는 다문화적 요소를 어렵게 인식하고 있었다. 비교적 쉽게 인식하고 있는 요소는 셈여림, 빠르기, 박자 등이었고,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는 요소로는 가사에 대한 이해와 발음이었다. 14주간의 다문화 음악 학습 프로그램 후에는 대부분의 요소들을 사전 보다는 쉽게 인식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교원 양성 기관에서 다문화 음악교육 커리큘럼을 계획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s perceptions about learning contents(musical and multicultural elements) of multicultural music included in music textbooks. For the investigation, 95 pre-service teachers were surveyed. The paper survey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14 weeks multicultural music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perceptions of participants about musical and multicultural elements. The result indicated that participants thought the pronunciations and meanings of texts were most diffic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helpful to establish the curricula related to multicutlrual music education i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nstitute.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제한점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절차 및 조사도구
3. 교육 프로그램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다문화 음악 학습 유경험자의 사전·후 분석 결과
2. 다문화 음악 학습 무경험자의 사전·후 분석 결과
3. 다문화 음악 학습 유·무경험자 간의 비교 분석 결과
4. 개인의견
5. 결과 논의
Ⅳ. 요약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