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창활동의 음악적, 교육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학교음악교육에서 합창활동이 축소되는 교육현실을 바라볼 때 합창활동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음악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24차시 합창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교육과정과 음악 교과서의 합창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현재 초등학교 합창활동의 현황을 진단한 후 실제 초등학교 교실합창과 합창부 활동을 조사·분석한 연구가 제시한 문제점을 새로운 합창 프로그램에서 해결하고자 하였다. 단계별 합창지도의 순서에 따라 주제별로 6단계로 나누어진 프로그램은 듣는 훈련을 통해 합창과 친해지기, 신체표현을 겸한 발성, 교과서 제재곡을 다양한 방법으로 합창하기, 생활 속 음악을 이용한 합창 레퍼토리 확장, 합창 발표회순으로 구성하였다.
The musical activities, such as choir activities, are decreasing in elementary school nowadays. This paper aims at presenting realities of music education, pointing out some problems, and suggesting a program with which primary schools vitalize choir - building activities as well as choir activities. Instead external motivation, such as choral festival competitions, an internal motivation is required. The presenting program internally motivates primary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choral activities voluntarily. This program includes vocalization as bodily expression for the children, and choral repertoire which includes the selected songs from textbook, and of integral part of daily life. The program can be applied as following: firstly, teachers experience choral activities. Then, teachers lead students with their own voices and without sheet musi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suggestion to vitalize choir activities in classroom as well as choir team.
Ⅰ. 들어가는 말
Ⅱ. 연구 목적과 방법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Ⅲ. 이론적 배경
1. 음악과 교육과정의 합창활동 내용
2. 초등학교 합창활동의 문제점
3. 합창지도를 위한 교수법적 접근
Ⅳ. 프로그램의 실제
1.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원칙
2.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
V.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