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음악교수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요구 분석

A Study on Educational Needs Analysis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Music Teaching Competency

  • 235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음악교수역량의 제고를 위하여 음악교수역량의 중요도와 현재 자신의 수행 수준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교육요구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실습을 다녀온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음악심화 전공 4학년 예비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회수된 144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136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초등교사들은 음악교수역량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지만 역량을 실제 수행하는 수준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음악교수역량에 대해 예비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현재 수행 수준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초등교사들은 전문성 영역의 하위 역량들을 상당히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고 현재 수행 수준의 인식도 다른 역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예비초등교사들은 학습자에 대한 지식, 음악수업의 구조화, 교수전략 선정, 동기부여, 상호작용, 전문성 계발에 대해 높은 교육 요구를 가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music teaching competency.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175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seniors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ith specialization of music education and have just finished their student teaching. A total of 14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136 questionnaires among them were analyzed except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answered incomplet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importance levels of music teaching competency were higher than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s of music teaching competency.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levels and the current performance levels. Third,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relatively higher perceived importance levels and current performance levels in sub-competencies of the professionlaism domain than other competencies. Last,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the high educational needs on the music teaching competency according to knowledge of students, structuralization of music class, selection of teaching strategies, motivation, interaction with students, professional growth from the highest order.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음악교수역량

2. 초등교사의 음악교수역량 구성요소

3. 교사의 교육요구 분석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예비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음악교수역량의 중요도 및 현재 수행 수준

2. 음악교수역량에 대한 교육요구 분석

V.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