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음악활동이 유아인성교육에 기여하는 바를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누리과정해설서 및 국내 유아음악관련 저서 등 총 11권에서 제시하는 유아음악활동의 내용을 취합하여 활동에 내포되어 있는 인성요소와 그 빈도수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유아음악활동의 5개영역에서 총 53개의 활동으로부터 136건의 인성요소를 검출하였으며 그 결과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14개의 인성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성요소의 영역별 분포도는 ‘개인 및 기본생활습관’ 영역이 80.9%, ‘타인과의 관계성’ 14.7%, ‘시민의식’ 4.4%이었으며 가장 많이 나타난 인성요소는 ‘자발성’으로 전체의 26.5%이며 그 다음은 ‘자기표현’, ‘자신감’ 순이었다. 인성요소별 빈도수는 음악듣기를 제외한 4개 영역에서 ‘자기표현’과 ‘자발성’이 우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유아음악활동은 유아인성교육에 있어서 ‘자발성’과 ‘자기표현’, ‘자신감’ 등 개인과 관련된 인성요소를 강화하기에 매우 적합한 활동일 뿐 아니라 다소 적은 비중이기는 하지만 ‘타인존중’, ‘배려’, ‘협동’, ‘경청’등 ‘타인과의 관계성’과 관련된 인성요소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누리과정의 ‘예술경험’ 영역의 활동에 나타난 인성 요소에도 부합하는 결과이다. 이로써 유아음악활동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인성교육의 방법으로 적극 활용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factors, 136 samples of character factors were collected in 53 activities from 5 different areas. 14 character factors could be identified that appeared repeatedly in the result. The distribution of character factors by domain showed that the domains ‘Personal and basic life habits’,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Civic awareness’ took up 80.9%, 14.7%, 4.4% respectively, and the character factor ‘spontaneity’ appeared most frequently taking up 26.5% of the entire samples, followed by ‘Self-expression’ and ‘Self-confidence’. In all domains except for the domain of ‘Music listening’, ‘Self-expression’ and ‘Spontaneity’ recorded high frequency, and in the domain of ‘Music listening’, the factor ‘Cautiousness’ was predominant. Consequently, it is implied that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are highly suitable for reinforcing character factors related to individuals such as ‘Spontaneity’, ‘Self-expression’, and ‘Self-confidence’, and, although not very frequently show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character factors related to ‘Relationship with others’ such as ‘Respect for others’, ‘Consideration’, ‘Cooperation’, and ‘Attentive hearing’, etc.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 factors shown in the domain of ‘Art experience’ in Nuri-Curriculum such as ‘Spontaneity’, ‘Self-expression’, ‘Self-confidence’, ‘Cooperation’, ‘Respect for others’ expressions’, and ‘Respect for other cultures’. Therefor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needs to be adopted actively as a method for character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및 절차
Ⅲ. 연구결과
1. 창작(음악 만들기)
2. 노래 부르기
3. 악기 다루기
4. 동작으로 표현하기
5. 감상(음악 듣기)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