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평가 도구에 따른 창작 결과 비교

A Comparison of the Composition Products by Measuring Instruments -with CAT, MCTM, Cantometrics-

  • 126

본 연구는 창의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평가 도구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음악창작 결과물 20개를 대상으로 합의적 평가기법(CAT), MCTM, 칸토메트릭스를 이용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먼저 CAT의 창의성이 MCTM의 음악적 독창성 및 음악적 구성력, 그리고 칸토메트릭스의 유사성과 상관이 있었다. 또한 칸토메트릭스의 유사성 점수는 창의성과는 상관이 있지만 능숙함과는 상관이 없었다. CAT 평정자의 자질, 다양한 음악 창작 과제, 능숙함이 높은 학생들과 유사성 점수에서 동료 학생들과 많이 다르게 나온 학생들에 대한 연구의 필요 등을 제안하였다.

The definition and assessment of creativity can not help varying by defining which terms and assessing which instruments. For understanding about creativity, it needs to know the nature of each measuring instruments of creativity and then to investigate how theses natures affect assessment.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ing each characteristic of measuring instruments, it was carried out measuring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Measure of Creative Thinking in Music and cantometrics aimded at 20 third grade students’ composition products. As a results, creativity in CAT was related with musical originality, musical syntax in MCTM, and similarity in cantometrics significantly. And similarity in cantometrics was related with not technical goodness but creativity in CAT. The chart of cantometrics of creativity high group, musical originality high group, and similarity high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Lipscomb et al.(2003). They mostly used the form repetitive with some variation, longer phrase, much more phrase, wider keyboard range.

Ⅰ. 서 론

Ⅱ. 연구 배경

1. CAT

2. MCTM

3. 칸토메트릭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절차

2. 평가 도구

3. 자료 분석

Ⅳ. 결 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