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KeTiNa 리듬교육은 플라티슐러(R. Flatischer)에 의해 창시되었다. 이 리듬교육은 무엇보다도 교육에 참여하는 이들이 무의식중에 근본적으로 내재된 리듬 “리듬 원형” 을 자각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목소리, 발걸음, 손뼉치기, 화답송 등을 악기와 함께 단계적으로 학습하도록 제시한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플라티슐러의 문헌을 분석하여 TaKeTiNa 리듬교육에서 다루는 7가지 주요 리듬 패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2+3박, 약박, 3+2박, 4+3박, 3+4박, 3+9박, 4+12박의 폴리리듬 패턴에 대한 활동 방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리듬활동은 일반적인 음악 활동을 넘어서 치유를 위한 하나의 유익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new rhythmic direction which is yet not known to us. That is called with “TaKeTiNa Rhythm Process”. Above all comes the statement of seven Patterns of Polyrhythm direction and secondly it’s origin, aim, process and characteristics. TaKeTiNa is used in academic and clinical settings and in corporate training worldwide. Rhythm is innate and seems still mysterious to us, because it leads oft us to the peak of aesthetic experiences. Therefore rhythm, an element of music, has a driving force to harmonize the internal with the external of human being. The TaKeTiNa Rhythm Process, developed by Austrian percussionist R. Flatischler, want participants to develop their awareness of rhythm. And they are to guide into the experience of “rhythm archetypes” anchored deep in human consciousness. Self-awareness of inner rhythm archetypes helps the recovery of our intrinsic source. From that point of view, TaKeTiNa music direction could be besides a good therapy of human being. But it don’t forget us to advice not to hurry ourself but to be just relax and calmly.
Ⅰ. 서 론
Ⅱ. TaKeTiNa 리듬교육의 이해
1. TaKeTiNa 리듬교육의 목표
2. TaKeTiNa 리듬교육의 단계별 활동
3. TaKeTiNa 리듬교육의 특징
Ⅲ. 주요 리듬 활동
1. 활동의 기본 원칙
1. 7가지 리듬 활동 패턴
Ⅳ.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