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악교육 연구논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우리나라 국악교육연구의 방향성을 재고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최근 10년간(2005~2014년) 국내 학술지에 수록된 국악교육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논문들을 유치원, 초등학교, 초중학교, 초중고, 중학교, 중고등학교, 기타의 7개 영역의 학교급별 측면에서 살펴보고, 교육사, 교육철학·심리, 교육과정, 교과내용, 지도방안, 평가, 현황·인식, 정책, 기타의 9개의 연구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최근 우리나라 국악교육 연구는 일반국악교육에 관한 논문을 비롯하여 초등학교에 관한 논문과 지도방안에 관한 논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유치원에 관한 논문은 유아의 창의성발달에 관한 연구를 비롯하여 주로 전래동요를 활용한 논문이 주로 이루어졌다. 초등학교에 관한 논문은 지도방안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그 중에서도 민요지도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초중학교에서는 교과내용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지만, 비교적 다양한 연구경향을 보였고, 초중고에서는 국악교육 교수법과 같은 지도방안에 관한 논문과 제재곡과 관련된 교과내용이 이루어졌다. 중학교, 중고등학교에서는 가창영역에 관한 지도방안 논문이 많았으며, 중학교에서는 제재곡에 관한 내용 분석, 중고등학교에서는 제재곡의 개념, 형식에 관한 교과내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ndency in research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is study selected 204 articles published in 10 journals including SSKME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nd KMES (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 during the year 2005~2014. According to the analysis, more articles for general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an professional education have been published. In addition, numerous studies for elementary school and on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and guidance plan have progressed. In conclusion, the current trend in research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First, the research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hould be diversified encompassing more professional education. Second, the research should be extended to different ages. Last, future studies are expected to focus on more various subjects.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문제
4.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연도에 따른 논문수
2. 연구분야에 따른 논문수
3. 학교급별 논문수
4. 연구영역별 논문수
5. 최근 논문경향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