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미국 학교 음악교육에서 생활화 관련 내용의 변천

Changes of Teaching Contents in American School Music Education Related to Applying Music to Daily Life

  • 159

본 연구는 미국의 학교 음악교육에서 생활화가 어떻게 다루어져 왔으며 그 위상은 어떠한지를 추적하고자 한다. 미국 학교 음악교육의 태동 단계에서부터 음악이 사회 및 개인 삶에 주는 실용적 효과는 음악교과의 당위성 형성에 중심적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미국의 음악교과에서 생활화 관련 사항은 적극적 조명을 받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1994년의 국가수준 음악교육 표준안 및 2014년 음악 표준안은 음악의 생활화와 관련된 지표를 일부 포함하고 있으나 그실제적 비중은 크지 않다. 미국 학교 음악교육에서 음악 활용 및 향유 태도의 육성을 위한 생활화의 내용은 전반적으로 음악 지식 및 기능 학습에 묶여 있는 경향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ndency to deal with applying music to daily life in Americ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Viewing from the historical aspect, the actual effect of music instruction led to the generalization of music class in American schools. According to this tradition, applying music seems to be carrying out a role to conduct the necessity of music class in school education even though its status does not dominate the whole curricula for school music in the United States. The 1994 National Standards for Music Education and the 2014 Music Standards are indicating content standards of relationships between music and various disciplines to enhanc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music. However, applying music to daily life is considered to be a subsidiary activity in American music education because musical knowledge and skills stand out as being more important than the rest.

Ⅰ. 들어가면서

Ⅱ. 생활화 관점의 발달

1. 초창기 논의

2. 페스탈로치 교육이념의 수용

3. 생활화 구현의 지체

Ⅲ. 현대 음악교육에서의 논의

1. 관점의 점검

2. 공감대의 확장

Ⅳ. 국가수준 표준안에의 반영

1. 음악교육 표준안

2. 핵심 음악 표준안

Ⅴ. 나오면서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