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이는 프래그머티즘의 완성자로서 그의 철학은 자연주의적 경험철학으로 특징지어진다. 그의 세계관에서 모든 경험은 자연 내부에 존재할 뿐만 아니라 자연이 지니고 있는 것이 된다. 즉 모든 경험은 자연으로부터 소외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연의 무수한 형식들 가운데 하나의 자연성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자연성이 음악의 형식과 본체를 형성한다. 음악의 미적경험은 바로 이 자연성의 미적 상황에서 발생하고, 이러한 미적 상황은 자연성이라는 지배적인 성질을 드러낸다. 그런 만큼, 존 듀이의 자연성은 자연에서 작용하는 계속성과 상호작용의 원리에 따르며, 자연의 미적 자연성, 인간의 자연성, 일상의 자연성과 연속성을 지시하는 핵심 개념이다. 그리고 프래그머티즘 음악교육에 자연성의 미적 세계 발견으로서의 음악교육, 인간 자연성의 미적 본성 계발로서의 음악교육, 일상의 자연성과 연속성으로서의 음악교육을 제안한다.
As John Dewey is called a completer of pragmatism, his philosophy is characterized by natural empiricism. Thus all experiences are being not only in nature but also of nature. This is that all experiences are not so much estranged from naturality but exist in a form of nature among many forms of nature. As music is in this naturality, the form of music and its substance are based on the naturality. Also experience appears in situation that shows general traits of nature, and this situation has a pervasive quality of nature. Thus Dewey’s naturality is core construct that controlled by the principle of continuity and interaction that are working in nature, and reveals the aesthetic naturality of nature, the naturality of human, and the naturality of ordinary. And it could provide pragmatism music education with as music education of finding the naturality of aesthetic world, as music education of developing aesthetic nature of human naturality, and as music education of having continuity with the naturality of ordinary.
Ⅰ. 들어가는 말
Ⅱ. 예술철학으로의 발전
Ⅲ. 듀이의 자연성
Ⅳ. 프래그머티즘 음악교육
1. 자연성의 미적 세계 발견으로서의 음악교육
2. 인간 자연성의 미적 본성 계발로서의 음악교육
3. 일상의 자연성과 연속성으로서의 음악교육
Ⅴ. 맺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