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초등 방과후학교 국악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A Study on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 216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개 도시 초등학교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31개교의 국악 지도강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지도강사 중 5명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의 내용으로는 참여 학생, 국악 지도강사, 국악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실태를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었고, 심층 면담에서는 실제 방과후 국악수업 운영에서의 어려움과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방과후 국악교육의 개선을 위해 다양하고 새로운 국악 프로그램 및 교재의 개발, 다양한 형태의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는 지도강사의 노력,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 학교 및 학부모들의 방과후 국악교육에 대한 인식변화 등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erational status of after-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To attain the goal, a survey was conducted to 28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ctors at 31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four cities operating after-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s. Selecting five instructors out of them, this researched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The questionnaire dealt mainly with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ctors, students, and the oper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and the in-depth interview was mainly intended to examine difficulties in operating after-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and how to improve them.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this author has drawn th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develop new and diverse after-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s and teaching materials fitting them. Second, instructors should make efforts to implement various types of after-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programs. Third, positive supports are needed to be provided for after-school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Lastly, it is necessary for both schools and parents to change their recognition about after-school clas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설문 조사

2. 지도강사 심층 면담

Ⅲ. 연구 결과 1.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의 참여 학생 기초 실태

2.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의 강사 관련 실태

3.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된 실태

4. 심층 면담을 통한 방과후 국악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Ⅳ.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