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Fuller와 Bown의 교사염려모델을 사용하여 예비 초등교사의 음악교수에 대한 염려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교육대학교 음악교육 심화전공 4학년 예비교사 15명이다. 연구 자료로는 동료학생 대상의 모의 음악수업과 교육실습 음악수업에서 각각 사용된 교수학습 지도안, 동료교수 음악수업과 교육실습 음악수업에서 촬영한 수업 DVD, 그리고 각각의 수업에서 수업을 마친 후 예비교사가 기록한 자기 평가지 및 연구자와의 비구조화된 인터뷰가 사용되었다. 예비 초등교사의 자기 평가지와 전사한 인터뷰의 내용은 Fuller와 Bown의 교사염려의 3가지 카테고리(자신, 수업 업무, 학생 영향)로 코딩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초등교사의 음악교수에 대한 염려는 전반적으로 수업 업무에 대한 염려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자신, 학생 영향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수업 상황에 따른 음악교수에 대한 염려를 비교하면, 수업 업무와 학생 영향에 대한 염려는 동료교수 음악수업보다 교육실습 음악수업에서 더 나타났다. 반면, 자신에 대한 염려는 교육실습 음악수업보다 동료교수 음악수업에서 더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cern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teaching music using the Fuller and Bown’s teacher concerns model. Participants were 15 senior undergraduates who specialized in music education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 Data sources included teaching DVDs, accompanying lesson plans, self-evaluations of teaching, and unstructured interviews. For the interview, a video-assisted, stimulated recall method was used after peer teaching and field teaching episodes. Self-evaluations and the verbatim transcripts of the interviews were coded according to Fuller and Bown’s concerns categories (self-survival, task, and student-impac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ask concerns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followed by self concerns and student-impact concerns. Task concerns and student-impact concerns increased from peer teaching to field teaching, whereas self concerns decreased from peer teaching to field teaching.
Ⅰ. Introduction
Ⅱ. Research method
1. Participants
2. Procedure
3. Data analysis
Ⅲ. Results
1. Self concerns
2. Task concerns
3. Student-impact concerns
Ⅳ. Discus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