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음악동화를 활용한 악기연주활동의 의미에 대해 예비유아교사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 2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음악동화를 활용한 악기연주 활동이 주1회 4시간씩 이루어졌으며, 예비유아교사들이 직접 음악동화를 계획하고, 구성하여 자유롭게 악기연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는 연구자의 참여관찰과 예비유아교사의 저널기록과 심층면담, 영상촬영, 녹음자료, 연구자의 저널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동화를 통한 악기연주 활동이 음악적 요소를 탐색할 수 있는 활동임과 동시에 자신의 음악적 수행 능력에 대한 두려움과 기대가 공존하는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음악동화를 통한 악기연주 활동이 음악적 표현능력을 높이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significance the musical instrumental performance through musical fairy tales has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rvice early-childhood teacher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on 23 students who were a sophomo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at a four-year college. For this study, the musical instrumental performance through musical fairy tales was arranged for 4 hours once a week and pre-service early-childhood teachers planned and composed musical fairy tales themselves to express as a free instrumental performance.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researcher, journals of pre-service early-childhood teachers, in-depth interview, video films, recordings, and journals of researche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ed musical instrumental performance through musical fairy tales as the activity through which they could explore musical elements and where their fear of and expectation for musical performance ability coexisted.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at musical instrumental performance through musical fairy tales raised the ability of musical express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연구절차 및 연구도구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음악적 탐색이 있는 음악동화를 활용한 악기연주 활동
2. 음악적 표현 능력을 키우는 음악동화를 활용한 악기연주 활동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