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음악교과를 위한 초등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Elementary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a Music Subject

  • 177

본 연구는 음악교과에 초점을 맞춘 초등교사학습공동체의 교육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성찰저널, 음악수업관찰, 인터뷰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들은 동료로부터 다양한 음악수업전략을 배울 수 있었고, 음악교과의 내용 및 활동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지며, 자신의 음악교과 수업에 대한 반성을 할 수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들의 개인적인 변화가 공동체 밖의 개개인의 학교에 있는 동료교사들에게까지 확산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셋째, 공동체의 소수의 인원과 새롭게 배운 지식을 적용하는 과정은 초등교사학습공동체의 유지 및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음악교사들의 전문성을 위한 공동체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meaning of elementary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a music subject. For the study, observation of five teachers` music classes, individual interviews, and reflective journals were gathered and analyzed. The summary of the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through peer-to-peer interaction, elementary teachers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learned music teaching strategies, acquired their change of perspectives o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and reflected their own music classes. Second, the personal development through teacher learning community was not expanded outside the community. Finally, fewer people and the process to apply new knowledge to teachers`` music classes were important elements to facilitate collaboration among elementary teachers in the communit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학습공동체의 개념

2.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속성

3.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사 및 학교의 변화와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도구

3. 자료분석

Ⅳ. 결과

1. 초등교사학습공동체의 개인적 참여 의미

2. 초등교사학습공동체 내부로부터 학교까지로 연결된 변화

3. 초등교사학습공동체의 유지 및 발전을 촉진하는 요소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