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독일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 음악과생활 영역의 제재와 수업활동을 탐색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독일 초등음악교과서를 분석 한 것이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Rondo 1/2」(2015), 「Musikkus 3|4」(2009), 「Der neue Musikus 3」(2010), 「TONE 1 5/6」(2011) 이다. 분석내용은 각교과서에 제시된 음악과생활 영역 학습제재 및 학습활동의 주제와 활동내용이다. 연구 결과 첫째, 독일 초등 음악수업에서 다루어지는 음악생활 영역 내용은 주변 환경의 음악, TV 속의 음악, 음악녹음 및 녹화, 음악 듣기 매체 관련으로 모두 4개의 공통주제와 인터넷과 음악, 집에서의 음악, 듣기 산책, 광고음악, 영화음악 등의 개별 주제로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독일 초등학교에서 음악과생활 영역은 아동이 음악을 생활화 할 수 있는 요인들로서 흥미, 사회와의 소통, 음악장르, 음악매체 등과 연관된 내용으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학습 주제 및 활동, 적용 방법에 대한 구성 체계를 볼 때 음악과생활 학습이 오늘날 우리 교육에서도 강조하는 프로젝트, 융합, 토의·토론, 창의성 등과 관련된 학습방법이 적용된다는 점이 파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ontent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in Germany with focus on unit organizations for the theme, “Music in Life” and its learning activities. The textbooks chosen for the study are the four German music textbook publications: 「Rondo 1/2」(2015), 「Musikkus 3|4」(2009), 「Der neue Musikus 3」(2010), 「TONE 1 5/6」(2011). The content analysis of the study is focused on learning topics, contents, and activities contained in the units on “Music in Life” within these four textbook se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basis for the following conclusions: (1) four common topics including “music in surrounding environment,” “music on television,” “recording music,” and “media for music listening” are contained within the four textbook series and individual topics such as “internet and music,” “music at home,” “music for advertisements,” “film music” and so forth are also suggested; (2) topics related to children’s interest, social communication skills, musical genres, and music media are emphasized as key elements for the units on “Music in Life”; and (3)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learning topics and activities, and application strategies reflected in German elementary music class implies that currently emphasized approaches such as project-based learning, convergence education, discussion centered education, creative teaching can be also applied to the “Music in Life” learning.
Ⅰ. 서 론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Ⅱ. 본 론
1. 음악과생활 영역 분석에 적용한 교과서 종류
2. 각 교과서의 음악과생활 단원 체계 분석
3. 교과서 분석 결과로 본 음악과생활 단원 학습주제 분포도
4. 음악과생활 학습활동에 적용된 학습방법
Ⅲ.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