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학생관계 및 부모의 학습관여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음악흥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on Music Interest through Musical Self-efficacy
- 권슬기(Seul-gi Kwon)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5권 제4호
- 등재여부 : KCI우수등재
- 2016.11
- 23 - 48 (26 pag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음악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심리요인(음악교사-학생관계, 부모의 음악학습관여)과 개인 심리요인(음악적 자기효능감)의 영향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A 중학교와 B 중학교의 1, 2학년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교사-학생관계, 부모의 학습관여, 음악적 자기효능감, 음악흥미의 정도를 측정하여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이 느끼는 교사-학생관계가 긍정적일수록 학생의 음악흥미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이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로 작용하여 음악흥미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편, 학생이 느끼는 부모의 학습관여는 음악흥미 향상에 직접적으로는 상관이 없었지만, 학생의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음악흥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음악흥미 향상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보다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학생의 음악흥미 향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환경 심리요인이 음악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요인인 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이 상당히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음악흥미 향상을 위해 학생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환경을 조성하고 교사와 학생 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psychological factors(teacher-student relationship,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and personal-psychological factor(musical self-efficacy) affecting music interest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hich is based on interest theory and some empirical studies on music interest. The participants of this survey were 400 students from two middle schools.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measure variables of this study. It consist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musical self-efficacy, and musical interest scale. The results suggested that Teacher-student relationship has direct effects on music interest. and also has indirect effects on music interest mediated by musical self-efficacy. However,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has no direct effects but indirect effects on music interest mediated by musical self-efficacy. At last, musical self-efficacy has direct effects on music interest. The results propose that teacher influences are much stronger than parental influences on music interest. Furthermore, musical self-efficacy is an important psychological factor in speculating about music interes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음악흥미
2. 음악흥미와 관련 변인 간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자료 수집 및 연구대상
2. 검사도구
3. 분석방법
4. 분석모형
Ⅳ. 연구결과
1. 측정변인의 기술적 통계량
2. 측정변인 간의 상관관계
3. 측정모형의 분석
4.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5. 음악흥미와자기효능감, 교사-학생관계및부모의학습관여의영향관계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