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대학 피아노 전공 실기 지도교수들의 연습전략 지도방법 연구

A Research on How College Applied Piano Instructors Teach Practice Strategies

  • 315

본 연구는 대학 피아노 전공 실기 지도교수들의 피아노 연습 지도 방법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부산 경남 지역에 위치한 대학에 출강하는 9명의 피아노 전공 실기 지도교수이며, 연구 자료는 각 지도교수 당 2회의 레슨을 참여 관찰하여 작성한 18회의 관찰일지이다. 연구 결과 지도교수들은 학생이 연습한 곡을 연주하도록 하여 이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학생의 연습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연습 과정에 대한 점검은 거의 하지 않았다. 학생들의 연습을 감독하기 위해 연습일지나 연습에 대한 자기비평지와 자기반성지를 활용하는 지도교수는 없었으며, 학생의 연습과정에 대해서 질문하는 경우도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연습 지도는 연주의 세 가지 정신적 표상(Woody, 1999)인 목표 심상화(goal imaging), 근운동적 생산(motor production), 자기 모니터링(self-monitoring) 중 목표 심상화와 근운동적 생산에 중점을 두었다. 레슨 정리 단계에서 대부분의 실기 지도교수들은 학생들이 연습과정에서 학습해야 할 중점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하지 않았으며, 구체적인 연습의 틀을 제시하는 경우도 드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way college applied piano instructors teach practice strategies to their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9 college applied piano instructors teaching at universities in Busan-Gyeongnam area. 18 field notes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s of instructors` piano lessons(2 times each).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nt instructors check student`s practice outcomes through watching and listening to student`s performance and did not check how the students practiced. None of the instructors had the students keep a practice diary as well as a reflection log, and rarely asked about practice process. Among three types of mental representations for music performance(Lehmann & Ericsson, 1997; Woody, 1999), the participant instructors focused on goal imaging and motor production rather than self-monitoring, and they rarely gave structured practice strategies to their students at the end of the lesson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음악연주 시 작동하는 세 가지 정신적 표상

2. 숙고적 연습

3. 자기조절 학습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자료

3.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지도교수들의 학생들의 연습과정 및 결과 점검 방법

2.레슨 중 관찰되는 연습전략

3.레슨 정리 단계에서 학생에게 제시하는 연습전략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