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래동요 <별세기 노래>를 이용한 구성활동을 통해 아동들이 자신의 생각이나 의도를 표현활동에 담아내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놀이가 학습으로 전환되는 것의 의의를 듀이의 경험론에 입각하여 알아본다. 그리고 학교음악교육에서 아동들이 구성활동을 통해 환경 혹은 경험과 상호작용하면서 어떻게 작품을 구성하는지 실증적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해, 아동들이 그들의 음악적 감성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음악교육의 방안을 모색한다. 구성활동은 음악적 경험에 대한 논의로 아동들의 내적(사고)과 외적(작품) 상호작용에 관심을 가지는 교육방법이다. 그것은 무언가를 만든다는 목적을 가지고 아동들이 외부의 소재를 구성함으로써 내부의 충동이나, 감각, 이미지, 사고 등을 재구성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아동들이 자신들의 경험을 지속적으로 다시 새롭게 구성해 가는 과정에서 음악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d children interact with children song in the reframing of a classroom based on constructive activity. The constructive reframe includes the children`s thoughts and intentions, and in doing so, seeks ways for children to express themselves through their own musical sensitivities. The constructive activity is a method of instruction that focuses around a discussion on musical experience and takes an interest in the interaction of children`s internal (thought) and external (musical works). As a result of this study, children can reaffirm their musical progress that is reconstructed through their ongoing experiences through constructive activity.
Ⅰ. 머리말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
3. 선행연구의 비판적 검토
Ⅱ. 이론적 배경
1. 구성활동에서의 놀이와 일
2. 구성활동의 원리와 구조
Ⅲ. 연구수업의 분석
1. 교재의 개관
2.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3. 분석대상과 방법
4. 수업장면의 분석
Ⅳ. 분석결과와 결론
1. 분석결과
2.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