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존 듀이 `하나의 경험`의 수준에서 가창의 심미적 경험과 활동 방안

The Aesthetic Activity Program of Singing on the Level of John Dewey`s `An Experience`

DOI : 10.30775/KMES.46.1.03
  • 469

듀이의 `하나의 경험`은 그의 예술철학의 핵심개념 중의 하나이다. 그 수준은 `상황적 통일체로서의 경험`, `심미적 성질의 경험`, `하나의 완성적 경험`, `선의 실천으로서의 경험` 등으로 요약된다. 이것은 음악의 심미적 경험의 수준과 맞물리는 것으로 가창의 심미적 경험과 활동 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안한다. 물론 가창의 심미적 방안은 심미적 요소인 가사와 음악과의 관계가 함께 탐색되어야 한다. 가사의 심미적 요소는 음악적 언어, 정서와 상상의 언어, 이미지 언어에서, 그리고 음악의 심미적 요소는 음악의 색채, 음악의 가락, 반주 음악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듀이의 `하나의 경험` 수준에서 가창의 심미적 경험과 활동 방안은 `가사와 음악의 심미적 상태 감지하기`, `심미적 느낌 연습하기`, `선의 실천의지 강화하기` 등의 과정으로 제안될 수 있다.

John Dewey`s `An Experience` is a core of concepts in his art philosophy. The levels of aesthetic experiences are summarized as are the experience of the unity for situation, is the experience of aesthetic quality, is the experience as consummation, and the experience as practice of the good. These concretely suggest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activity program of singing as connected with the level of aesthetic experience in music. Of course, the aesthetic experience for singing should be explored with lyrics and music which have their aesthetic elements. The aesthetic elements of lyrics are rhythmical language, imaginable language, and image language. The aesthetic elements of music are found by musical color, melody, company. Therefore, in the level of John Dewey`s `An Experience`, the ways of aesthetic experience activities can be suggested as perceiving the state of lyrics and music, practicing of the aesthetic feeling, and reinforcing the practice of the good.

Ⅰ. 들어가는 말

Ⅱ. 존 듀이의 ‘하나의 경험’의 수준

1. 상황의 통일체로서의 경험

2. 미적 성질에 대한 사고로서의 경험

3. 하나의 통합적 완성적으로서의 경험

4. 선의지 강화로서의 경험

Ⅲ. 가사와 음악의 심미적 요소

1. 가사의 심미적 요소

2. 음악의 심미적 요소

Ⅳ. 가창의 심미적 활동 방안

1. 심미적 상태 감지하기

2. 심미적 느낌 연습하기

3. 선의지 실천 강화하기

Ⅴ. 맺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