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내의 사회적 관계 연구

Social Relations Research within High School Orchestras

  • 132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단원 학생들의 성별, 학년, 연주악기, 악장여부, 학교오케스트라 연주경험 기간, 학교유형, 오케스트라 종류 등의 배경 변인에 따른 고등학교 오케스트라내의 사회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Moraczewski(2014)의 질문지를 재구성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사한 후 선정기준에 의해 선별된 11개 고등학교의 관악, 관현악 오케스트라에서 활동하는 고등학생 40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내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계층은 성별, 연주악기, 오케스트라 연주 경험기간, 학교유형, 오케스트라 종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교 오케스트라의 사회적 의미는 학교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학교 오케스트라 내의 사회적 관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학교 오케스트라의 사회적 측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ces in social relationships within a high school orchestra according to gender, grade, musical instruments, the concertmaster, performance experiences, school type and the different types of orchestra with regard to high school orchestra members. Social classes and social interactions within high school orchestras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musical instruments, period of experiences in orchestral performance, school type and orchestral types. In addition, social significance of high school orchestras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chool types. In this regard, it seem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ocial relationships within school orchestras for teenage students, and it also suggests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research on social aspects of school orchestras.

Ⅰ.서 론

Ⅱ.연구방법

1.연구 대상 및 절차

2.용어의 정의

3.연구 도구

4.자료 분석

Ⅲ.연구결과

1.단원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내의 사회적 상호작용

2.단원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내의 사회적 계층

3.단원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고등학교 오케스트라 내의 사회적 의미

Ⅳ.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