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교육 행정가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raining Program for School Administrators
- 민경훈(Min Kyung Hoon) 권수미(Sumi Kwon) 임은정(Eun Jung Lim)
- 한국음악교육학회
- 음악교육연구
- 음악교육연구 제46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우수등재
- 2017.08
- 73 - 93 (21 pages)
이 연구는 학교 교육 행정가들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문화예술교육 연수 내용 및 운영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향후 개발하게 될 학교 교육 행정가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연수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학교 교육 행정가와 예술 정책 연구 및 교원 연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표적 집단 면담(FGI)과 학교 교육 행정가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가 병행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학교 교육 행정가들을 위한 연수 프로 그램의 내용은 `문화예술`, `해외의 문화예술교육`, `우수 문화예술교육 사례`, `문화예술교육 운영`, `문화예술체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등 6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나타내었다. 연수 시기는 학교 운영이 안정되는 4월5월과 9월10월 또는 학기를 마친 방학기간에 합숙형태의 직무연수로 실시하며 15시간20시간의 `단기 연수`와 30시간 이상의 `중기 연수` 운영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culture and arts education training program for school administrators by investigating their awarenes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ir opinions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raining programs. It employs both Focus Group Interview (FGI) conducted with school education administrators, arts policy researchers, and teacher training experts and questionnaire survey for school education administrators. This study presents a training program for school education administrators that consists of six parts: `Cultural Arts`, `Overseas Arts and Culture Education`, `Excellence Cases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Cultural Arts Education Operation`, `Cultural Arts Experience`, and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appropriate time for the training would be during the time from April to May, from September to October, or vacations when school administration is relatively not busy. Lastly, it recommends a short-term training program for 15 to 20 hours and a mid-term training program for over 30 hours.
Ⅰ.서론
1.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연구의 제한점
Ⅱ.문헌연구
1.문화예술교육
2.교원연수
Ⅲ.연구방법
Ⅳ.연구결과
1.학교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2.연구결과의 시사점
3.문화예술교육 연수 프로그램
Ⅴ.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