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SCOPUS 학술저널

서울·경기 지역 자유학기제 음악 프로그램의 실태 및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Recognition of Music Program for Free Semester System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OI : 10.30775/KMES.46.3.05
  • 763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 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자유학기제 음악 프로그램의 실태와 이를 직접적으로 경험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자유학기제의 음악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 중학교 413개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음악 프로그램에 대한 실태를 조사 하였으며, 2016년에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551명의 학생과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및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413개교의 99.3%가 1학년 2학기에 자유학기로 운영하였으며, 89.8%가 170시수를 자유학기로 편성하였다. 조사 학생의 62.6%가 음악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있었다. 자유학기의 음악 프로그램의 선정은 학교의 지원 및 교사의 전문성, 학생의 흥미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의 음악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학생의 흥미와 참여를 이끌어 주는 다양한 음악 프로그램의 개발과 이를 위한 학교와 교사의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situation of music program for the free semester system for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directly experienced it.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413 schools, 551 students and 5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ree semester system music program was influenced by the school program, teacher `s expertise, and student interest. In order for music education for free semester system to be effective,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music programs that would stimulate student`s interest and involvement, and support schools and teachers.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연구 문제

3.연구의 제한점

Ⅱ.이론적 배경

1.자유학기제의 편성 및 운영

2.자유학기제의 평가 방법

III.연구 방법

IV.연구결과 및 해석

V.결론 및 제언

로딩중